본문 바로가기

건강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이 글에서는 국가에서 지원하는 복지서비스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목차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

    건강할 때는 암 치료비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건강이 좋지 않아 지면 치료비가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라면 암치료비가 특히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국가에서는 저소득층 암환자, 소아암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으로 치료비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그밖에 의료이용 장벽을 낮춰 암환자들의 암 치료 접근성을 향상하고, 또 국가적으로는 암 검진율이나 치료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은 성인 암환자, 소아 암환자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성인 암환자(건보가입자, 의료급여수급권자, 폐암 환자)에 해당하는 내용만 다루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그럼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건강보험 가입자

    먼저 가장 많은 경우에 해당되는 건보가입자 지원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 대상

    • 국가암 조기 무료검진을 통하여 확인된 신규 암환자
    • 1차 검진일로부터 만 2년 이내에 개별검진을 통해 암 진단을 받은 경우(국가 5대 암 중 대상자별 해당 암 1차 검진 필수)
    • 기지원자 해당 연도 1월 건보료 부과액 적합자

    참고로 2020년 건보료 기준은 직장가입자의 경우 100,000원 이하, 지역가입자의 경우 97,000원 이하입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2. 지원 암종

    지원 암종은 국가암검진사업을 시행하는 5대 암종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 위암(C16)
    • 유방암(C50)
    • 자궁경부암(C53)
    • 간암(C22)
    • 대장암(C18~C20)

     

    3. 지원 범위

    지원범위는 암진단과정에서 소요된 검사비, 암 진단일(최종 진단) 이후의 암 치료 및 합병증 관련 의료비가 해당되는데요,

    여기에는 지원 대상 5대암종에서 전이된 경우 전이된 암 치료 관련 의료비와 암 치료로 인한 합병증 관련 의료비가 해당됩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4. 지원 금액 및 기간

    가장 중요한 지원 금액입니다.

    건보가입자 지원 금액은 연간 최대 200만원으로 최대 연속 3년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5. 지원 항목

    암환자 의료비 지원 항목은 '본인 일부 부담금'에 해당하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해당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인 일부 부담금 : 진찰료, 입원료, 식대, 투약 및 조제료, 주사료, 마취료, 처치 및 수술료, 검사료, 영상진단 및 방사선치료료, 치료재료대, 포괄수가진료비 등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주말 공휴일 병원 약국 응급의료포털 찾기

    살다 보면 한 번쯤은 주말이나 공휴일에 갑자기 몸이 안 좋아지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 보통 집에 있는 비상약을 먹고 참으면서 평일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 병원을 가는 경우가 많죠. 상

    insightmoeum.tistory.com

     

    의료급여수급권자

    이어 암환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 지원 내용도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 대상

    •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만 18세 이상의 전체 원발성 암환자
    • 차상위 계층(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로 구분자 코드 C, E 해당자)도 인정
     

    2. 지원 암종

    의료급여수급권자의 경우 건보가입자 대비 넓은 범위의 암종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악성 신생물(C00~C97)
    • 제자리 신생물(D00~D09)
    •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중 원발성 악성 신생물에 해당하는 일부(D45, D46, D47.1, D47.3, D47.4, D47.5)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3. 지원 범위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지원 범위는 앞서 알려드린 건보가입자 지원 범위와 같습니다(위 내용 참고).

     

    4. 지원 금액 및 기간

    지원 금액은 차이가 있는데요,

    본인일부부담금의 경우 연간 최대 120만 원까지 지원하고, 비급여 본인부담금의 경우 연간 최대 1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기한은 연속 3년(최대)으로 건보가입자와 같습니다.

     

    5. 지원 항목

    의료급여수급권자 지원 항목을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본인일부부담금
    • 비급여 본인부담금
    • 희귀의약품 구입비
    • 조혈모세포(골수, 말초형) 이식관련 의료비
    • 암 치료에 직접 소요되는 필수 치료재료대
    • 암치료 관련 성형 치료비
    • 구강 주위 암(C00~C14)으로 인한 치과 보철치료비

    *비급여 본인부담금 : 선택진료료, 상급병실료, 투약 및 조제로, 처치 및 수술료, 검사료, 제증명료, 전액본인부담비 등이 포함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에 좋은 음식은 무엇일까?

    60대 이상의 국민질환이라 부르는 퇴행성 관절염. 이 글에서는 퇴행성 관절염에 좋은 음식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인간이 느끼는 통증의 90%가 관절 때문이라고도 하죠. 살면서 암에 걸리지 않

    insightmoeum.tistory.com

     

    폐암 환자

    마지막으로 폐암환자 의료비 지원 내용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 대상

    •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폐암환자
    • 건보가입자 중 등록 신청연도 기준으로 1월 건보료 부과액이 해당 연도 건보료 기준에 적합한 만 18세 이상 폐암환자

    (건보료 기준은 위 건보가입자 지원 대상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지원 암종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C33-C34)

     

    3. 지원 범위, 지원 금액 및 기간

    폐암 환자의 경우에 지원 범위는 건보가입자의 지원 범위와 동일하니 위 내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금액 및 기간도 앞서 살펴본 내용과 비슷한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 건보가입자는 본인일부부담금 연간 최대 200만 원, 최대 3년
    • 의료급여수급권자는 본인일부부담금 120만 원과 비급여 본인부담금 100만 원, 최대 3년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등록 및 지원 신청

    여기까지 전반적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다른 국가 지원 사업과는 달리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은 인터넷으로 신청이 안됩니다.

    때문에 지원 대상자 등록 및 지원 신청을 하려면 환자의 주민등록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해야 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암환자 의료비 지원 이만큼 받는다

     

    등록 신청할 때 필요한 서류는

    '등록신청서, 진단서, 개인정보 이용 제공 동의서, 건보증, 주민등록등본, 암 검진 결과 통보서, 건보료 납부확인서'가 있고,

    지원 신청 구비서류에는 '신청서, 진료비 영수증, 입금통장 사본, 전문의 소견서'가 있습니다.

     

    일부 지원서의 경우 보건소에 비치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방문에 앞서 관할 보건소에 먼저 연락하신 후 필요한 서류만 준비해서 가면 좀 더 수월하실 것 같습니다.